마트나 편의점에서 가공식품을 사먹거나 집에서 요리한 음식을 먹을 때 칼로리 열량 등 영양정보에 대해서 궁금해하시고 찾아보신 적이 있으실텐데요. 오늘은 식품 표시사항을 통해 열량을 확인하는 방법 외 또다른 방법과 칼로리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칼로리 열량 확인하는 방법
1. 식품 포장재 표시사항 확인하기
마트나 편의점에서 사서 먹는 가공식품의 칼로리(열량)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은 바로 포장지에 표기된 표시사항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구매 전 제품의 포장재에 표시된 칼로리를 확인하고 비교 구매할 수 있습니다.
- 가공식품의 앞면에 총 열량을 확인한다.(제품 전량 섭취할 경우)
- 제품 뒷면의 영양정보 표에서 단위 내용량 및 열량을 확인한다.
- 내가 먹을(먹은) 양을 확인계산하여 영양성분을 비교한다.
식품 포장의 주표시면(앞면)에는 "총내용량(총열량)"이 표시되어있습니다. 표시된 이 칼로리는 제품의 총 내용량에 대한 칼로리로 제품 전량 섭취한 경우에는 이 부분만 확인하여도 됩니다. 다만 전량 섭취하지 않은 경우 정보표시면(뒷면)에 표시된 영양정보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이는 기입된 단위 당의 영양성분의 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총 내용량 기준인지, 100g 기준인지 등 단위 내용량을 확인한 후 섭취한 양의 열량을 확인·계산해야합니다.
2.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활용하기
제품을 매장에서 구매하기 전 집에서 간단히 식품의 영양정보를 확인하고 비교하고 싶은 경우, 또는 집에서 요리한 음식의 대략적 영양정보가 궁금한적 있으실겁니다. 이때 아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바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 입니다. 아래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간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사이트에서 식품으로 찾아보기를 통해 확인하시면 되는데요. 예를들어 라면을 구입 전 종류별로 칼로리를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제품명을 검색하여 확인하시면 됩니다. 또는 집에서 요리한 경우나 외식하는 경우 등 조리된 식품에 대한 정보도 있으니 식품명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예와같이 비빔국수로 검색하시면 가정식/가공식품 등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지며 또 가공식품의 경우 제조사별로 또는 식품 유형별로도 분류되고 해당 제품명 클릭하시면 칼로리 외의 정보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칼로리 열량 계산하는 방법
건강에 조금이라도 관심있으신 분들이라면 탄단지라고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바로 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양으로 열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탄수화물 1g = 4kcal
- 단백질 1g = 4kcal
- 지방 1g = 9kcal
간단히 말해서 탄수화물 1g, 단백질 1g, 지방 1g을 먹었을 경우 4kcal+4kcal+9kcal= 총 17kcal를 섭취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위의 영양정보표를 가지고 열량을 계산했을 경우, 탄수화물 10g x 4kcal + 지방 16g x 9kcal + 단백질 18g x 4kcal = 256 kcal
위와 같은 계산식으로 총 256kcal가 나오는데요. 표에 작성된 255kcal와 차이가 있는 이유는 열량 표기시 그대로(256kcal) 또는 가장 가까운 5단위(255kcal)로 표시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열량 외 나머지 영양성분 또한 실제 분석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 분석값이 아닌 세부 표시방법에 따라 영양성분을 표시하며 표시된 영양성분을 통해 열량을 산출하여 또 표시방법에 따라 열량을 표시하기 때문입니다.
추가적으로 알콜은 1g당 7kcal, 유기산은 1g당 3kcal, 당알콜은 1g당 2.4kcal, 식이섬유는 1g당 2kcal입니다. 해당 영양성분이 표시된 경우 이 부분을 적용하여 열량을 산출합니다.
우리가 건강을 위해서나 다이어트를 위해서 여러이유로 칼로리 정보를 많이 궁금해하셨을텐데요. 오늘은 쉽게 칼로리를 확인하고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알려드린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